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연말이 다가옵니다.<br> <br>송년 모임 날짜도 하나둘 씩 늘어나는데요. <br> <br>예전만큼 술을 많이 마시진 않죠. <br> <br>맥주와 사케의 나라 일본에선, 무알코올 술집이 인깁니다. <br> <br>세계를 가다 김민지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"건배!" "건배!" <br> <br>은은한 조명 아래 각종 칵테일을 마시는 IT회사 신입 직원들. <br> <br>하지만 마셔도 취한 기색은 없어 보입니다. <br> <br>이들이 찾은 곳은 알코올이 없는 술을 파는 ‘무알코올 술집’입니다. <br> <br>취하지 않고 술 마시는 기분만 내려는 겁니다. <br> <br>[이케노 / 20대 직장인] <br>"(술) 마시지 않고도 즐거운 게 중요해서 술 없이 대화 가능한 상황이 가장 좋다고 생각해요." <br> <br>[하라구치 / 20대 직장인] <br>"피곤해서 술 마시는 게 괴로웠는데 함께 (무알코올 음료를) 마시니 스트레스가 해소돼요." <br> <br>이곳에서 가장 인기 있는 무알코올 칵테일, ‘목테일’입니다.<br> <br>일본에선 술 없는 삶을 지향하는 ‘소버 큐리어스’ 문화가 확산되는 가운데 이곳은 문 연 지 2년 만에 6만 명이 다녀갔습니다.<br> <br>[겐다 / 무알코올 바 운영자] <br>"2, 30대를 중심으로 (술을) 못 마시는 건 부끄러운 게 아니고 (술에) 취하는 게 창피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무알코올 음료가 유행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최근 일본 성인 1명 당 술 소비량은 75L로 약 30년 전과 비교해 25% 줄어들었습니다. <br> <br>반면 무알코올 음료 시장 규모는 10년 전 보다 약 1.4배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맥주와 사케의 나라 일본에서 무알코올 메뉴가 본격적으로 각광 받기 시작한 것은 2020년 코로나19 이후로 여겨집니다. <br> <br>회식 기회가 급격히 줄고 건강을 생각하는 분위기가 자리 잡으면서 반드시 취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이 술자리 문화를 바꾸게 된 겁니다. <br> <br>마트에서도 주류 코너 옆에 무알코올 음료 코너가 별도로 자리 잡게 됐습니다. <br> <br>[메구 / 일본 대학생] <br>"술 마시면 몸 상태가 나빠지니까 무알코올 음료를 마시는 쪽이 더 즐겁다고 느껴져요." <br> <br>[현장음] <br>"맛있어요.“ <br> <br>시장의 변화에 주류 업체들도 잇달아 기발한 상품을 내놓으며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녹차로 만든 것부터 지방 분해를 돕는 건강 음료까지 다양합니다. <br> <br>[혼다 / 무알코올 음료 판매 업체] <br>"화이트 와인 같은 풍미가 있는 녹차도 있어요. 술 말고 다른 선택지가 있는 사회를 만들고 싶습니다." <br> <br>취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이 술자리 뿐 아니라 사회 문화 전반을 바꾸고 있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민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ettymom@ichannela.com